-
작성일
2025-07-02
-
작성자
대학라이즈지원센터
-
조회
274
- 첨부파일
■ 조사개요
- 조사기간: 2025년 4월 30일(수) ~ 5월 27일(화)
- 조사방법: 전자공문 및 이메일 안내를 통한 웹 설문조사
- 조사대상 및 응답률: 회원대학 중 191개교 대상, 147개교 응답(77.0%)
* 총 197개 회원교 중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 6개는 문항 특성상 조사대상에 포함하지 않음(국군간호/공군/육군/해군사관학교, 경찰대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주요 설문결과
▶ RISE에서의 우려 사항
- 대학에서 가장 크게 우려한 사항으로 ‘RISE 예산의 안정적 확보 가능성’과 ‘RISE의 정책적 지속가능성’이 지목되었으며,‘지자체의 의지와 여건, 정책시행 등에서 지역별 편차’가 그 뒤를 이음
- 한편, 대학의 소재지별로 우려 사항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자체별로 운영되는 RISE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어, 지역대학의 여건에 따라 우려 사항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대응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함
▶ RISE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 RISE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역 내 대학 특성별 차별화 전략 수립’이 도출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사업비 배분 권한의 지자체-교육부 간 균형적 조정’과 ‘대학-지자체 간 수평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으로 나타남
▶ 교육부 및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사항
- RISE의 안정적인 안착과 운영을 위해 교육부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사항은 ‘안정적인 예산 확보’로 나타났으며, ‘대학 자율성을 보장하는 사업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이 그 뒤를 이어 높게 나타남
- 한편,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사항으로는 ‘지자체 차원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 계획 수립’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결국, 안정적인 예산 확보는 정책의 지속가능성과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핵심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음
■ 정책적 제언
▶ RISE 정책 운영의 예산안정성과 예측가능성 확보
- 충분한 예산확보 및 안정적인 재정 지원 계획의 부재는 정책 효과를 저해하며, 대학과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함. 따라서 교육부와 지자체는 중장기 재정 지원 계획을 법적·제도적 차원에서 견고하게 마련하고, 정책 목표와 운영 기준을 일관성 있게 제시하여 대학들이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대학의 자율성과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 추진
- 대학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함. 교육부와 지자체는 대학들이 각자의 특성과 강점을 살려 자율적으로 혁신 전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함. 또한, 동일 지역 내 대학이라도 각기 다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대학들이 서로의 강점을 활용하고 지역과 협력할 수 있는 시너지 창출 기반을 마련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