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CUE 대학 총장 설문(Ⅱ) PART1.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대학혁신
-
작성일
2025-07-02
-
작성자
기획혁신팀
-
조회
296
- 첨부파일
■ 조사개요
- 조사기간: 2025년 4월 30일(수) ~ 5월 27일(금)
- 조사방법: 전자공문 및 이메일 안내를 통한 웹 설문조사
- 조사대상 및 응답율: 회원대학 192개교* 148개교 응답(77.1%) * 문항 특성상 특별대 5교 제외(육군, 해군, 공군, 국군간호 사관학교, 경찰대학)
▶ 대학 총장들의 주요 관심 영역
- 대학 총장들의 주된 관심 영역 1위는 ‘재정지원사업(정부, 지자체 등)’(79.1%, 117개교), 2위는‘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60.8%, 90개교)으로 나타남.
-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2023년 설문조사 이후 처음으로 2위로 진입, ‘신입생 모집 및 충원’은 3위로 내려옴.
▶ 대학의 디지털 대전환 관련
• 응답 대학의 73%(109개교)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및 국공립 대학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반면 시도단위 대학과 소규모 대학은 대응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AI(생성형 AI 포함) 활용 현황은 ‘생성형 AI 관련 수업 개설’과 ‘챗봇’이 이 가장 높은 비중(48.0%, 71개교)을 차지함. 전년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AI 활용이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함.
- 이는 대학들이‘디지털 인프라 및 플랫폼 구축’을 디지털 대전환을 대비하는 최우선 과제로 인식(가중치 반영합계 1순위)하고 실제로 기반 조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시사함.
▶ 등록금 인상 대학의 학생을 위해 우선적으로 집행 또는 계획한 분야
- 2025년도 등록금을 인상한 대학(69.6%, 148개교 중 103개교)이 학생을 위해 우선적으로 집행 또는 집행을 계획한 분야는 ‘학생을 위한 다양한 시설 및 공간 지원(신설 또는 리모델링)’이 1순위(가중치 반영합계)로 나타남.
- 이어 ‘첨단 교육시설 확충 및 개선’, ‘노후시설 보수’가 2, 3순위로 나타나, 등록금 인상분이 학습 및 생활환경 개선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줌.
▶ 고등교육 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정부에 바라는 정책 건의
- 고등교육 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정부에 바라는 정책 건의로는, [자율성/규제] 부문의 ‘대학 운영(학사, 입학, 정원, 교원, 회계 운영 등) 자율성 확대(49개교)’를 가장 많이 제안했으며, [재정 지원] ‘법에 기반한 고등교육 정부 투자 확대(43개교)’가 그 뒤를 이음.
- 설문 주제와 관련된 ‘디지털 대전환 및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지원체계 마련’은 5위(25개교)로 제안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고등교육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별도 재정 항목을 마련하여 관련 인프라, 공동 교육 플랫폼, 공동 R&D, 인재양성, 교원 등에 대한 지원” 등이 다수 제안됨.